Rhythm Doctor Lounge (비교)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4 vs r5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14 | 14 | 기본적으로 영어로 운영되는 서버였지만, 특정 언어권 수요층이 충족되면 외국어 채널도 개설되었다. 특히 [[A Dance of Fire and Ice]]가 한국에서 인기를 끌고 게임 내에서 바로 접속할 수 있던 디스코드 커뮤니티였기에, RDL 내에 한국인 유저의 비율이 매우 늘어났고, 그 결과 다른 언어권 채널은 언어별로 하나씩 있었지만 한국어 채널은 '''16개'''나 존재했다. 현재는 한국어권 커뮤니티의 규모 축소 및 영문 커뮤니티와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 인해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라는 새로운 서버로 분리하여 이전하여 RDL내의 모든 한국어 채널은 아카이브 처리되었다. |
15 | 15 | == 채널 정보 == |
16 | 16 | 서버의 채널명을 게임의 컨셉에 맞게 지었다. 리듬 닥터 메인 채널의 이름은 '''#medical-floor'''였고, [[ADOFAI]] 메인 채널의 이름은 '''#observatory'''였다. 한국어권 채널 또한 규모가 커지면서 RD 채널과 ADOFAI 채널이 분리될때 컨셉에 맞춰 '''#수술실''', '''#천문대'''라는 채널명을 부여하였고, 이는 후술할 '한문대'와 '영문대'라는 단어의 유래가 된다. |
17 | === 구 한국어 채널 정보 === |
|
18 | * '''#규칙''': RDL 서버의 규칙을 한국어로 간략하게 요약하고, 번역분 전문으로 링크해주는 채널로, #regulations 채널에 대응되었다. RDL의 한국어 규칙은 이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에 거의 그대로 계승된다. |
|
19 | * '''#게시판''': 각종 공지나 RDL 서버 이벤트 관련 소식을 전달하는 채널로, #info-desk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0 | * '''#rdrts''': RDL 서버에서 '''RDRTS'''라는 대형 이벤트를 진행중이던 당시에 한국어로 해당 이벤트 관련 채팅을 할 수 있었던 채널로, #rdrts-announcements와 #rdrts-discussion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1 | * '''#수술실''': Rhythm Doctor 관련 일반 대화용 채널로, #medical-floor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2 | * '''#조제실''': Rhythm Doctor 관련 에디터 대화용 채널로, #rd-editor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3 | * '''#천문대''': [[A Dance of Fire and Ice]] 관련 일반 대화용 채널로, #observatory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4 | * '''#네오코스모스''': [[Neo Cosmos]] 관련 일반 대화용 채널로, #neo-cosmos-discussion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5 | * '''#천문연구실''': [[A Dance of Fire and Ice]] 관련 에디터 대화용 채널로, #adofai-editor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6 | * '''#휴게실''': 7BG 게임과 관련 없는 잡다한 대화용 채널로, #rhs-waiting-room과 #tachycardia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7 | * '''#질문방''': 7BG 게임과 관련된 질문용 채널이었다. |
|
28 | * '''#탕비실''': RDL 서버와 관련된 질문 또는 제안용 채널로, #complaint-center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29 | * '''#오락실''': 7BG 외의 게임과 관련된 대화용 채널로, #gaming 채널에 대응되었다. |
|
30 | * '''#성과''': 7BG게임, 타 게임, 현실 등의 각종 성과를 자랑하는 채널이었다. |
|
31 | * '''#카드회의실''': RDL 서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던 리듬닥터, ADOFAI 카드뽑기 봇 관련 대화 채널로, #cards-discussion 채널에 대응되었다. 이 봇은 이후 [[7BG 한국어 커뮤니티]]에도 도입된다. |
|
32 | * ~~'''#응급실'''~~: 개인의 고민과 힘든 일을 털어놓고 위로 또는 조언을 공유하는 채널로, #emergency-room 채널에 대응되었다. 이용자들이 해당 채널을 venting[* venting은 분출하다, 환기하다라는 뜻으로, 감정을 하소연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. 건전한 고민 공유와 조언 교환이 아닌 단방향적 감정 전시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의미로, 비슷한 단어로는 '감정 쓰레기통'이 있다.] 용도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 여러번의 문제제기와 논쟁 끝에 채널 유지의 효용성이 없고 서버에 부정적인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폐쇄 및 비공개 아카이브 처리되었다. 원본이 되었던 #emergency-room 채널도 몇년 후 비슷한 이유로 폐쇄되었다. |
|
33 | 33 | == 관련 용어 == |
34 | 34 | * '''한문대 / 영문대'''[br]이 서버에서 얼불춤 채팅방의 이름을 천문대로 해놓은 것에서 파생된 용어로, 각각 #천문대 채널과 #observatory 채널을 지칭하였다. RDL에서 한국 커뮤니티가 분리된 이후에는 의미가 확장되어 한국어권 커뮤니티와 영어권 커뮤니티 전체를 지칭하게 되었다. |
35 | 35 | == 논란 및 사건 사고 == |
... | ... |